top of page
검색

초등 선행학습, 해야 할까 말아야 할까?|부작용과 장점, 진짜 중요한 기준은 따로 있다.

  • 작성자 사진: 은하 양
    은하 양
  • 6월 25일
  • 2분 분량

최종 수정일: 6월 26일

속도보다 중요한 건 방향입니다.

요즘 초등학생을 키우는 부모들 사이에서 빠지지 않는 주제, 바로 선행학습입니다.


"우리애 중등진도 나가" "지금 안시키면 사춘기오면 더 안해!"

주변 이야기를 들으면 괜히 조급해지는 건 당연합니다.

하지만, 정말 중요한 건 “우리 아이에게 이게 맞는 루트일까?” 에요.


ree

✔️ 선행학습, 왜 하는 걸까?

선행학습 장단점을 살펴보면, 분명 장점도 있고 단점도 있습니다.

✅ 장점

  • 학교 진도에 여유 생김

  • 반복학습으로 개념 정착

  • 학습 루틴이 빨리 잡힘

❌ 단점

  • 이해 없이 진도만 나갈 가능성

  • 자존감 낮아짐

  • 흥미, 집중력 저하

결국 중요한 건

"이게 내 아이에게 맞는 방식이냐?"라는 것!

✔️ 아이 성향에 따라 맞는 학습법은 달라요

📌 아이 성향별 학습방향을 알면 학습법이 달라집니다.

🎯 선행학습이 잘 맞는 아이

  • 규칙적이고 성실한 아이

  • 반복을 싫어하지 않는 아이

  • 문제풀이에 성취감을 느끼는 아이

  • 현행이 너무 쉽고, 선행이 어렵지 않은 아이

🧩 현행이 더 적합한 아이

  • 느리지만 깊이 있게 이해하는 아이

  • 감정에 예민하고 완벽주의 성향이 있는 아이

  • 창의적인 생각을 좋아하는 아이

  • 선행학습 때문에 이전 학습에도 구멍이 뚫리는 아이

☝️ 무조건 선행이 정답은 아니에요.

아이 성향별 학습방향을 먼저 살펴보는 게 더 중요합니다.

ree

재밌는 결과가 있어요.

선행학습을 한 학생들의 성적변화를 나타내는 표인데요,

그야말로 누군가에겐 '약'누구에겐 약(藥)이 되고 누구에겐 독(毒)이 된다 라는 말이 정답인듯 합니다.

하위권으로 갈 수록 선행으로 인한 성적향상 효과는 떨어지네요.



✔️ 선행 vs 현행, 부모의 역할은?

부모의 불안으로 아이를 ‘몰아가는’ 경우가 많습니다.

하지만 결국 돌아오는 건 ‘개념 누수’, ‘학습 거부감’이에요.

📌 체크리스트로 아이를 살펴보세요.

  • 학습 후 표정은 어떤가요?

  • 현행/선행의 학습 결과는 어떤가요?

  • 피로감은 심하지 않나요?

  • 자율적으로 하려고 하나요?

이런 사소한 관찰이,

아이 성향별 학습방향을 정하는 가장 좋은 방법이에요.

✔️ 선행학습은 도구일 뿐, 목적이 아니에요

📌 선행학습 장단점을 아는 부모라면, 선행은 선택지가 될 수 있어요.

✅ 이런 경우에는 선행이 좋아요

  • 현행 진도 여유롭게 따라가는 아이

  • 아이 스스로 더 알고 싶어할 때

  • 복습과 병행 가능한 경우

❌ 이런 경우엔 오히려 독이 돼요

  • 부모가 불안해서 시작할 때

  • 아이가 개념도 모르고 문제만 푸는 경우

  • 자율성이 없고 강압적으로 시킬 때


정답은 없지만, 방향은 있어요

진도보다 중요한 건 '우리 아이가 지금 무엇을 느끼고 있는가?' 입니다.

  • 재미있게 배우고 있는가?

  • 이해하고 있는가?

  • 자신감을 갖고 있는가?


이 질문에 YES라고 답할 수 있다면,

당신은 이미 우리 아이에게 맞는 학습 루트를 잘 그리고 있는 거예요.

비교보다 중요한 건 관찰, 조급함보다 강력한 건 존중입니다.


우리 함께 아이에게 맞는 학습루트를 만들어 가요!

ree

 
 
 

댓글


© 2035 Wix.com으로 제작된 본 홈페이지에 대한 모든 권리는 OOOO(사업체명)에 귀속됩니다.

  • facebook-square
  • Flickr Black Square
  • Twitter Square
  • Pinterest Black Square
bottom of page