top of page
검색

공부습관 = 평생 자산|6살부터 시작한 아이의 성장 기록

  • 작성자 사진: 은하 양
    은하 양
  • 6월 25일
  • 2분 분량

최종 수정일: 6월 26일

하루 10분, 작은 습관이 만든 큰 변화아이의 자율성과 공부 루틴은 ‘지속’에서 만들어졌어요.

 "6살인데 벌써 학습지를 해요?"

처음엔 주변에서 뭐라고 하시는 분들도 있었어요....

“너무 이른 거 아니야?” “어릴 땐 놀게 해줘야지~”

하지만 저는 그렇게 생각하지 않았어요. 공부를 일찍 시작하자는 게 아니었어요.

단지, ‘공부는 특별한 게 아니고 매일 하는 일’이라는 인식을 만들어주고 싶었을 뿐이었어요.

그렇게 시작한 게 바로 하루 10분, 구몬이었습니다.

 습관은 양보다 '루틴'이 먼저예요

많은 분들이 공부습관 하면 “얼마나 오래 시켜야 해요?” “몇 장을 풀게 해야 해요?”를 물으시는데,

저는 정반대로 생각해요.

"시간이 아니라 리듬이 먼저!"

처음엔 정말 딱 10분이었어요.

시간보다 중요한 건 매일 하는 것

숙제가 아니라 생활의 일부로 만드는 것!


📅 위클리 스케줄러로 스스로 계획하는 아이


ree

초등학교에 들어가기 전부터 저는 아이에게 스스로 계획하는 힘을 키워주고 싶었어요.

그래서 선택한 도구가 바로 위클리 스케줄러예요.

아이가 직접 해야 할 일을 적고

끝낸 후 직접 체크하게 만들었어요.

이건 단순히 공부습관을 넘어, 자기관리 습관까지 길러줬습니다.


처음엔 옆에서 함께 썼고,

지금은 스스로 그 날의 할 일을 분류하고 관리 하고 있습니다.

이런 루틴은 “숙제 하라”고 10번 말하는 것보다

훨씬 더 강력한 내면 동기 부여가 됐습니다.



>> 나이에 맞춘 습관의 확장

6세엔 10분, 7세엔 20분,

초1 때는 30분~1시간,

그리고 초4인 지금은 스스로 숙제가 있으면 두세시간이라도 집중해서 숙제를 마칩니다.

한 살씩 나이를 먹을 때마다,

아이의 집중 가능 시간과 책상에 앉아 있는 근력(?)이 자라나는 걸 느꼈어요.

여기서 중요한 건

📌 “단계별로 부담 없이 확장”하는 겁니다.


무리하게 늘리는 게 아니라

✔️ 아이가 “할 수 있을 것 같아!”라고 느낄 때,

✔️ 조금 더 해볼까? 하고 제안해보는 거죠.


>> 공부습관이 만들어낸 변화

지금 우리 아이는 숙제를 혼자 시작하고 스스로 계획표를 채우고

끝낸 후 저에게 “다 했어~” 하고 보여줍니다.

단순히 숙제 잘하는 아이가 아니라, 공부습관이 생활화된 아이가 되었다고 생각해요.

공부는 재능이 아니라 습관의 싸움이라는 말, 이제는 정말 피부로 느낍니다.


 아이 공부습관을 들일 때 도움이 됐던 팁💡

1. 짧고 간단하게 시작하세요

10분 학습 → 성공 경험 → 반복 → 습관

2. 도구를 적극 활용하세요

스케줄러, 타이머, 스티커, 체크리스트 등

3. 아이에게 ‘주도권’을 주세요

4. 칭찬은 행동 직후에 구체적으로

“공부했네~”보단

“어제보다 더 빠르게 마무리했네! 집중력 최고!”

5. 단계별 성장에 맞춰 조정하세요

초등 저학년은 시간보단 집중력

고학년은 분량보다 자기 계획 능력

 공부습관, 반복이 만드는 자산

아이에게 습관이란 “누가 시켜서 하는 것”이 아니라

“내가 늘 하던 걸 하는 것”이 되어야 합니다.

 그래서 공부습관은 의지보다 리듬,성과보다 반복, 결과보다 태도가 중요해요.

ree

누군가는 말합니다.

“6살에 공부습관? 너무 이른 거 아니에요?”

저는 이렇게 대답하고 싶어요.

습관은 성적을 위한 게 아니라, 평생의 자산입니다!

공부는 결국 혼자 해야 할 일이고,

그 혼자 하는 힘은 어린 시절 매일 10분씩 쌓은 반복의 힘에서 시작되었어요.

우리 아이의 공부습관은 지금도, 내일도, 천천히 성장 중입니다.

 
 
 

댓글


© 2035 Wix.com으로 제작된 본 홈페이지에 대한 모든 권리는 OOOO(사업체명)에 귀속됩니다.

  • facebook-square
  • Flickr Black Square
  • Twitter Square
  • Pinterest Black Square
bottom of page